활용기에 올렸는데, 어차피 그림파일 링크가 안 먹네요.
WM5.0 으로 기기변경후에 폰트 삽질 좀 했습니다.
wm5 는 폰트 바꾸려니 장점이 확실히 나타나는군요.
귀찮게 레지스트리를 변경할 필요도 거의 없고, 폰트온스토리지니 심폰이니 그런 프로그램들 쓸 필요가 거의 없다는것.걍 쓰고싶은 폰트를 윈도 폴더에 넣더라도 어차피 저장소 영역으로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영향이 없다는 점…
쓰고싶은 폰트를 그저 tahoma로 폰트이름만 바꿔서 윈도 폴더에 집어넣으면 만사 OK…
일단 여기 올리는 tahoma.ttf 폰트는 arial unicode 폰트에서 추출한 것입니다.
한글, 한자, 중국한자, 일본어, 일본한자, 유럽어, 아라비아어, 기타 언어… 거의 모든 글자를 포함하는 폰트져.
거기서 한글만 뺐고요, tahoma 로 넘긴겁니다. arialuni의 한글 폰트가 엉망이라… 빼고 기본 굴림 폰트를 쓰게한겁니다.
요즘 중국어 많이들 쓰시는데 중국한자(간자,번자 등) 다 나오고요, 일본식 한자도 다 나옵니다.
타임스페이스 폰트를 쓰시는 분도 있는데, 한글이 엉망이고 유럽어나 아라비아어는 나오질 않져.
![]()
![]()
![]()
![]()
하여간 이 폰트로는 세상 거의 모든 글자는 다 표현됩니다.
익스플로러 등에서는 로케일을 지원하지않아서 한계가 있습니다.
wm5용으로 한중일 다 지원하는 wince.nls 파일은 아직 안나온 듯 합니다. 누군가 곧 만들겠져.대신 Netfront 등에서 브라우징하면 인코딩 옵션이 많아서 제대로 나오는 경우가 있죠.
![]()
wm5 에서는 그냥 이 폰트를 windows 폴더에 넣으면 되고요. (롬 경고는 무시해주시고…)
2003 등에서는 그냥 집어넣어도 되긴하는데 용량이 9메가가 넘어서리…
플래쉬로 넘기려면 레지스트리 수정해야합니다.간단한데… 기기마다 틀리니 여기선 패스.
이 폰트를 집어넣으면 몇가지 안좋은 점이 생깁니다.
우선 시스템 조명 설정하는 옵션 글자가 깨집니다.다른 옵션은 멀쩡하고요.
이거 예전에 2003에서 한글 늘어짐 수정하는 폰트 어쩌고했을때도 조명쪽이랑 배터리쪽이 깨지더만…
![]()
그리고, 투피 모바일 페이지의 첫화면이 이렇게 나오네요.다른 페이지들은 멀쩡하고요.
![]()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그 외에는 잘못나오는 곳 없는 듯…
폰트 사이즈가 9메가가 넘어서 자료실에 올립니다.
<!–"